국립부경대학교 | 교육대학원

교육컨설팅

Educational consulting

전공사무실 : 대연캠퍼스 수산과학관(C21) 4층 9432호 ☎ 629-5965

홈페이지 (담당: 수해양산업교육과) http://fedu.pknu.ac.kr/main.do

학교 현장과 교육관련 기관에서 교육행정가, 교육방법 전문가로서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전공소개

본 전공은 교육행정이론, 학교경영론, 교육인사관리, 장학론, 교육연구방법(행정·방법)교수설계이론, 교육측정 평가이론, 비교교육연구(행정·방법), 사이버교육방법론, 수업분석, 근무평정론, 교육과정의 개발과 교사, 지도성이론 등 근래에 중요성을 더해가는 새로운 분야의 강좌들이 다양하게 설치되어 있다.


교과목 해설

학생상담과 부모교육(Student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상담이론을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세련된 품격을 갖춘 성인으로 성장해 나가는 데 필요한 교과목이고 내 자녀를 지도하고 양육하기 위해 필요한 부모의 역할에 도움을 주어 행복한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연구와 수업컨설팅(Class study and teaching consulting)

실제 수업현장에 들어가 수업이 갖는 다양한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여 교사들의 수업문제를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현장에서 실행가능한 해결책을 교사와 수업컨설턴트가 함께 고민하여 현장중심의 수업을 접근하여 도움을 준다.


교육인사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in Education)

인사행정의 기본적 성격과 인사행정 제도의 유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교육행정 조직에서의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체제를 연구하고, 현행 교육인사행정의 문제들에 대해서 논의한다. 교육 인력에 대한 수급계획, 선발과 임용, 보수체계, 지휘, 근무평가, 개인개발 및 집단개발, 인간관계 등에 관련된 문제들이 포함된다.


심리검사의 이해와 활용(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Test)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뇌과학을 바탕으로 설계된 신경심리학적 심리검사를 이해하여 학생의 지도와 상담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국내에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심리검사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부진 학생과 다문화 학생 컨설팅(Understanding & Consulting of multiple cultures and maladjustment students)

학습부진학생의 원인과 특징을 파악하여 이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교사들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교과목이고 아울러 증가되고 있는 다문화 학생의 지도와 학습컨설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심각한 교육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습부진과 다문화 학생의 다양한 원인을 파악하여 학습프로그램의 설계에도 도움을 주는 교과목이다.


교육연구방법(행정·방법)(Research Method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Methodology)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포괄하는 교육연구의 제 유형과 방법들 중에서 교육행정 및 교육방법 분야의 연구에 비교적 선호되는 방법들에 필요한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 및 방법들을 소개하고 연구주제의 발견에서부터 보고서 작성에 이르기까지 실제교육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고, 발표된 연구를 이해, 비판, 응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른다.


근무평정론(Faculty Evaluation)

교육개선을 위한 모든 노력의 출발점이며 귀착점인 “교수행위의 질과 교육조직 구성원의 능력”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의 목적과 기능, 평가자, 평가영역 및 내용, 평가의 기준, 절차 및 방법 등을 다룬다.


지도성이론(Theories of Leadership)

리더쉽의 이론에 관한 일반적 이해와 교육조직의 특성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조직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효율적 지도성 모형과 탁월한 교육지도자의 자질에 대해서 논의한다.


교육과정의 개발과 교사(Curriculm & Teacher)

교육과정 개발에의 참여정도,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 교사의 발달 등 교육과정 실천의 성패를 좌우하는 교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색한다.


교수설계이론(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효과적인 교수 및 학습의 과정과 관련되는 제반 이론과 모형, 그리고 관련 요인들에 대하여 탐구하고 우리의 교수학습 실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교육의사소통론(Communication in Education)

교육현장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들을 제공하고, 언어적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교수-학습의 과정에 대하여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고찰하며, 교수-학습과정 중 교사의 교수기능과 행동변인 등을 포함하는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적용한다.


교육통계학(Educational Statistics)

교육통계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나 실험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각종 도구의 측정치 성질에 따라 정리 분석 해석하는 기초적 능력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교육연구를 이해, 응용할 수 있는 기초적 능력을 기른다.


비교교육연구(행정·방법)(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Methodology)

몇몇 선정된 국가 및 사회의 교육 제도, 조직 및 기능을 비교하고, 우리의 교육실제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교육제도론(Educational Systems)

교육제도와 학교제도의 구조, 기능, 운영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그 대안을 모색한다.


교육조직행위론(Organizational Behavior in Education)

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조직의 특성과 그 조직 속에서의 인간행위를 고찰한다. 조직의 개념과 유형, 구성요소, 조직구조와 성과와의 관계, 권위 등에 관한 일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의 특성과 관련하여 효율적인 조직의 구성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한다. 그리고 조직이론, 조직갈등, 조직풍토, 조직문화, 조직효과, 조직건강, 조직변혁, 조직개발, 동기이론, 지도성, 의사결정 등을 포함하는 인간행위를 고찰한다.


교육교과학교육론(Theories of Education Teaching)

교육학의 특성과 그 이론적,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학 교육의 목표,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등 교육학 교육 전반에 관하여 연구한다.


교육학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Teaching Aids and Methods of Education Teaching)

교육학의 교과적 성격, 중등학교 교육학 교재의 심층적 분석, 수업설계, 수업안의 작성과 수업지도방법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교육학 수업을 진행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교육행정·교육방법 세미나 Ⅰ(Semina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MethodologyⅠ)

교육행정 및 교육방법의 주요 영역에서의 실제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토의를 통하여 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최종적으로는 자신이 선택한 주제에 대한 문헌고찰 레포트를 작성한다.


교육행정·교육방법 세미나 Ⅱ(Semina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MethodologyⅡ)

교육행정 및 교육방법의 제 영역에서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재검토와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현재의 사회, 문화, 정치적 상황에서 행정수행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모색한다. 최종적으로는 자신이 선정한 주제에 대한 연구설계 레포트를 작성한다.


논문연구(Thesis Research)

개별 학생으로 하여금 관심 분야와 관련된 국내외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발달이론의 교육적 활용(Application of Theories of Human Development)

교육과정 개발에의 참여정도,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 교사의 발달 등 교육과정의 실천의 성패를 좌우하는 교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색한다.


교육측정평가이론(Theories of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교육측정평가의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평가 설계, 타당성, 평가자료 분석을 위한 이론을 탐구한다.


수업분석(Analysis of Classroom activities)

수업에 대해 마이크로티칭 관점, 플랜더스의 언어상호작용적 관점, 장학적 관점 등 다양한 접근법을 익히고 실천한다.


교육방법의 이론과 실제(Theori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Methodology)

교육방법과 관련된 전반적인 이론을 탐색하고, 현장에서의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교육학교과 논리 및 논술(Education Logic & Essay)

논리력, 표현력, 종합력, 추리력, 창의력 등 고차적인 정신 능력을 함양하고 지적인 잠재 능력을 계발시켜 현대사회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과목별 창의성 발달 지도에 중점을 두고 교수한다.